내 사는 얘기

이규목 화가를 만나다

서해기린 2011. 12. 3. 13:18

 

 

                                         다리 발근 바메는 우야마 존노 - 침대가 있는 방에 걸린 그림에는 이렇게 씌어 있네요.

                                                      달밝은 밤에는 우야믄 좋을까요? 저도 그 달을 감당하지 못할 때가 종종 있어요. ^^

                                                         당나라 시인 李白은 달과 자주 놀았으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보고 님을 떠올렸지요.

                                               

 

제가 속한 '함시사'라고 있어요.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함께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약자지요.

 

가끔 시인을 만나 보자고, 가까운 곳에 있는 시인부터 만나자 해서

맨 처음에는,  같은 도시에서 고교 교장샘으로 재직중인

김선굉 시인을 만났습니다.  

 

그 분께 한 분을 추천해 달랬더니

시인만 고집하지 마라며 이규목 화가를 지목해 주셨어요. 

그래서 지난 월요일 비오는 도로를 달려 그의 화실이 있는 고령땅을 밟았지요.

개인전 16회, 서양화가

네이버에 검색하니 화가님의 사이트가 아주 잘 나와 있군요.

 

이규목 화가의 그림은 노랑과 초록, 핑크빛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어요.

언뜻 봐도 밝은 느낌이지요. 봄만 그리신다고 하네요.

 

 

                                             화실캉 달캉-역시 방에 걸린 작품입니다.

                                             화가가 이렇게 귀여운 말로~ ㅎㅎ

                                     

 

                                               이화백님의 정원에 핀 꽃들이랍니다.

                                               제가 별이 왜 많으냐고 물었지요.

                                               젊은 시절 자신이 가장 캄캄했을 때 밤중에 산꼭대기에 오르면

                                               별이 내려와 옷에 여기저기 묻어 있었대요.

                                               그때부터 별이 좋았고 이 그림은 화실앞 잔디밭이며 옷에 묻은 별을 털어 놓은 거라네요.

                                               화가의 입에서 시가 나오더라구요.

                                               예술은 이래서 서로 통하나 봅니다.

 

 

 

                                      이층으로 가는 계단에 놓인 도자기들인데 이 화가님이 직접 그리신 것도 많답니다.

                    

 

 

                                   한밤중  산꼭대기에서 무섭지 않았느냐 하니

                                   나보다 캄캄한 건 없었다며 바깥은 다 환했다고 시인처럼 말씀하시네요.

 

                                       

 

                                               직접 그린 작품이랍니다.

 

                                          19세에 그린 초기 작품. 목가적 풍경이 참 좋네요.

 

                                         물고기가 많다고 하니 그리기 좋고 물에만 있는 것이 밖으로도 나오는 발상의 전환이라네요.

                                          보편적인 것을 벗어나 보면 모든 것이 다르게 보이는 법이지요.

                                         물고기가 복숭아 꽃을 물고 구애를 한다네요.^^

 

                                     이층에 있는 주방겸 거실에 이 화구들이 있었어요.

 

                                  이 분입니다. 화가같지요?

                                  푸근해 보입니다.

 

 

 

                                  선생님의 지난 날을 들으며 겨울에 사냥하는 얘기, 요즘 근황, 전시회 얘기 등등 흥미로운 시간이었어요.

                                  

 

                                        이층 화실에서 밖을 내다 본 풍경입니다. 나무는 매화나무라고 하네요.

 

                                                          시인들이 놀러 와서 남겼대요.

 

                                                         김선굉 시인도 흔적을 남겼군요.

 

                                                         마음이 컴컴하게 저물 때 머리를 구름에 밀어넣자

                                                         구름이 필사적으로 밀어내어도 머리를 구름에 밀어넣자

 

                                                          마음이 컴컴하게 저물 때 머리를 구름에 밀어넣으면

                                                          구름 위로 올라가 밝은 마음이 될까요.

                                                           구름타고 떠다니며 흐르게 될까요.

                                                            비되어 내릴까요.

                                                                   

 

                                     화실 한가운데 놓인 유리탁자 사이로 보이는 그림이구요.

                                     회실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골동품이 많아서 옛스런 멋과 그림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화실 앞마당에는 대나무 울타리가 있고 그 너머 비닐하우스도 보이는 전형적인 농촌입니다.

 

                                    들어올 때 잘 생긴 사냥개 두 마리가 있었는데

                                     나오며 사진찍으려 하니 중간에 비가 와서인지 피하고 없네요.

 

                                      짧은 만남에 몹시 아쉬워 하시는 선생님

                                      멤버중에 바쁜 사람이 있어 점심도 못하고 다음을 기약하며 일어나야 했거든요.

 

                                       아쉽기는 저희도 마찬가지

                                        매화피는 봄에 다시 오기로 합니다.

 

'내 사는 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곳에서  (0) 2012.12.21
[스크랩] 함시사 백일장  (0) 2012.07.11
들성지 산책  (0) 2011.10.06
신의 아그네스   (0) 2011.08.27
우리 엄마 흙놀이터 3-고추 따기  (0) 2011.08.19